안녕하세요 알콩달콩 24입니다
살면서 내가 챙기지 않으면 사라지는 것들이 있는데요 그중에 하나가 바로 이 자동차를 구입할 때 비용을 지불하는 의무 매출채권입니다 구입한지 5년이 지났고 채권을 즉시 매도 한 기억이 없다면 반드시 찾아야 할 내 돈 어느 은행에서 검색해봐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 자동차 지역개발채권, 의무 매출채권이란?
지역개발채권은 (도시철도채권 포함) 자치단체에 자동차 등록을 허거나, 각종 인허가를 받는 경우, 자치단체와 공사 용역 물품계약을 체결할 경우에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채권입니다
이 채권은 17개의 광역자치단체와 100만 이상 대도시에서 발행하는 것으로 지역개발채권은 서울을 제외한 16개 시, 도에서 발행하며 5년 만기 일시상환 (시효 10년)입니다 또한 도시철도채권은 서울 부산 대구에서 발행하며 7년 만기 일시상환 (시효 5년)입니다
2,000cc 미만의 승용차는 차량가액의 4~12%의 채권을 의무적으로 매입하고 만기는 5년 또는 7년 이후에 원금 및 이자를 환급합니다 예를 들면 5백만 원의 채권을 매입할 경우 5년 후 금리를 5%로 계산했을 때 5백25만 원을 환급받습니다
▶ 지역별 신청 상환 은행
환급 신청을 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로 직접 지자체의 금융기관에 방문을 해도 되고 지자체별로 지정된 금융기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자료는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2022.2.28일 자 자료이므로 개발 중이라고 표기된 부분도 현재 시점에서는 완료가 되었을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은 홈페이지 또는 앱에 로그인을 하고 미상환 채권 유무를 확인한 후에 환급금 신청을 하면 신청자 금융계좌로 입금이 되는 시스템입니다
▶ 신규 매입채권
신규 매입채권일 경우 채권 보유 사실을 망각하더라도 구매자가 자동상환을 신청하면 만기 도래 시에 지정한 환급금 신청계좌로 자동입금이 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자치단체의 상환 공고문과 개인별 문자로 알림을 준다고 합니다 이렇게 만기에 상환을 하게 되면, 자동차 구매 시에 일반적으로 선택하던 만기가 되어 날짜를 챙기지 못할 것을 우려해 미리 상환을 선택함으로써 지불해야 했던 채권 매도 수수료를 구매자가 부담하지 않아도 됩니다
▶ 2023년 3월부터 1600cc 미만 자동차는 채권의무매입 면제
내년 3월부터는 1600cc 미만의 비상업용 자동차를 구입할 때 지역개발채권과 도시철도채권을 구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매년 소형 자동차의 구매자는 76만 명으로 약 800억 원의 부담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댓글